본문 바로가기

Exhibition/Review

문자산수 _ 송윤주展 2011_1221 ▶ 2012_0105


문자산수

송윤주 展

2011.12.21(수) – 2012.1.5()


Character landscape painting

Song Yun-ju Solo exhibition

21 December, 2011 – 5 January, 2012


 

Closed on Sunday

11:00am-7:00pm

 

Gallery Gahoedong60

www.gahoedong60.com

gahoedong60@gmail.com

서울시 종로구 가회동 60번지

02-3673-0585





       해와 달 Sun and Moon_Ink, Pigment on Korean paper_72x72cm_2011.jpg





파노라마적 화면의 시각적 재미와 율동

작업의 초기부터 재료의 민감하고 세밀한 속성에 촉()을 집중해온 작가 송윤주는 이번 전시를 통해 이미지와 기호의 접점에서 빚어지는 작품의 생태를 탐색한다. 출품작들은 크게 두 부류로 구분되는데 하나는 전지자적 관점에서 조망하는 풍경으로 볼 수 있는 시각의 표현이며, 다른 하나는 이러한 시각의 방향을 무한한 우주 공간으로 전환하여 보다 자유롭게 공간을 유영하는 듯한 작품들이다.

<서울>, <죽정관학도>, <산수몽> 등의 첫 번째 작품들은 마치 풍경화 혹은 지도처럼 표현된다. 작가는 먹과 종이를 가지고 표현하는 한국화적 특성이 동일한 원리로 표현되는 서예의 특성과 일치하는 것에 착안해서 고대 상형문자의 회화적 표현을 연구하여 작품에 도입하고 있다. 픽토그램 이미지들로 구성된 서울의 지도를 표현한 것 같은 작품 <서울>은 관람자들이 마치 보물찾기를 하는 듯한 시각으로 작품의 부분부분을 탐색하게 한다. 작가는 서울의 중심부에 자리 잡은 도로와 하천, 궁궐, 그리고 이런 구성요소들을 품에 안듯 감싸고 있는 외곽의 산들과 네 방향에 설치된 문들을 먹색의 농도를 조절한 고서체 한자의 다양한 모습으로 표현함으로써 글자의 의미작용과 그림의 표현기능을 함께 제시하고 있다.




                           서울 Seoul_Ink, Pigment on Korean paper_140x160cm_2011


                     죽정관학도(竹亭觀鶴圖) JukJeongGwanHakDo_Ink, Pigment on Korean paper_130x162cm_2011


                       산수몽(山水夢) Dream of Mountain and River_Ink, Pigment on Korean paper_91x91cm_2011




<죽정관학도>에서는 산으로 둘러싸인 정자가 화면 중앙에 놓여있고, 그 배경에는 대나무 숲이, 그리고 정자 앞에는 물위에 노니는 오리와 학으로 추측되는 동물들이 배치된 장면을 한 사람이 바라보고 있는 도가적인 정경을 송윤주의 방식으로 표현하고 있다. 작품 속에서 작가는 산이나 정자 등을 표현함에 있어서 다양한 모양을 제시함과 동시에 일부 글자의 표현에 표면을 문지르는 듯한 흔적을 가미함으로써 작가가 초기부터 탐구해 온 작품의 표면의 물성에 대한 관심이 이러한 작품들을 통해서도 이어져 오고 있으며 자신의 작품이 화면 전체를 하나의 이미지의 종합으로 보는 작가로서의 태도를 여전히 견지하고 있음을 보는 이들에게 주지시키고 있다.

<산수몽>은 송윤주의 첫 번째 카테고리의 작품 가운데 가장 단순하면서도 서예와 회화의 협업을 통해 보여줄 수 있는 이미지의 성숙된 시점을 보여주는 듯한 작품이다. 무채색의 화면 속에 굵은 선으로 화면 상부를 지배하는 산의 모습은 글씨이면서 동시에 그림이고 현대적이면서 동시에 전통적인 먹의 힘을 보여준다. 화면 아랫부분의 물의 표현은 윗부분의 산의 표현에서 사용한 굵고 힘찬 선과 대조되는 실선을 사용하고 있는데 중간 중간에 굵게 표현된 파형의 선들은 상형문자로서의 한자의 물을 표현하는 글자임과 동시에 물에 비친 산의 모습을 재치있게 표현하고 있는 듯하다.






                송씨천문도(宋氏天文圖) Song’s Astronomical Chart_Ink, Pigment on Korean paper_130x162cm_2011


                             카오스모스 Chaosmos_Ink, Pigment on Korean paper_165x165cm_2011




두 번째 부류에 속하는 작품으로는 <해와 달>, <송씨천문도>, <카오스모스(chaosmos)> 등의 작품들을 들 수 있다. 앞선 풍경화 혹은 지도 형태의 작품들과 마찬가지로 이러한 작품들도 작가 특유의 기법으로 공들인 바탕화면에 단색조의 먹선이 작품구성의 틀을 유지하고 있다. 이러한 작품들을 통해 작가는 해와 달 등을 의미하는 상형문자의 베리에이션을 화면 구성의 중요한 이미지 요소로 채택하고 그로부터 해와 달이라는 우주의 중심 요소들에 대한 작가 고유의 해석과 변형으로 작품의 영역을 확장시키고 있다.

<해와 달>은 제목에 나타나 있는 그대로 해를 뜻하는 한자어 일()자와 달을 뜻하는 한자어 월()자의 다양한 모습들을 화면 속에 커다란 원형을 그리며 배치한 작품으로 상부의 반원에는 해의 이동 궤적을, 그리고 아래의 반원에는 달의 이동 궤적을 표현하고 있다. 하늘의 수많은 별들 가운데 우리 생명의 근원이자 자연 현상의 중심부를 차지하는 이러한 해와 달의 다채로운 모습을 제시한 이 작품에서 작가는 인간 생명의 근원과 우주의 진리 등에 다가서려는 작가의 촉수를 무한대의 공간으로 내밀고 있음을 보여준다.

<송씨천문도> <카오스모스(chaosmos)>는 이러한 우주적 현상에 대한 작가의 관심이 본격적으로 확대된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작가의 성을 딴 <송씨천문도>는 제목처럼 작가 개인이 바라보는 우주 행성의 진행 원리에 대한 명상과 탐조의 표현인 것이다. 해와 달의 상형문자들이 마치 쥐불놀이 불그릇의 궤적처럼 선형을 그리며 우주를 유영하는 이미지를 표현한 작품에서 시작한 송윤주의 천문도는 하늘의 수많은 별들이 제멋대로 빛나는 듯하면서도 그 나름의 질서를 보여주는 <카오스모스(chaosmos)>로 확대된다. 이 작품에서는 하늘뿐 아니라 지상의 모든 사물을 상징하는 상형문자들이 하나의 이미지 요소로 동원되어 작가가 그어놓은 우주 속의 궤도에 탑승한다. 신기하게도 작가의 명상과 탐색이 다채롭고 풍부한 이미지로 발전하는 작품 속에서 관람자들은 우주의 원리만큼이나 파노라마적 화면의 시각적 재미와 율동을 느낄 수 있게 된다.




                            산중(山中) In the midst of the mountains_Ink, Pigment on Korean paper_91x91cm_2011


                        유_문(遊_文) Enjoying with the chracters_Ink, Pigment on Korean paper_130x130cm_2011




이번 전시를 통해 송윤주는 이미지와 기호의 상호작용을 우리 주변의 환경에서 우주 공간으로 확장하여 무한공간 속에서 펼쳐지는 율동의 에너지로 표현하고 있다. 이제까지 작가가 견지해 온 한국화의 재료와 필법의 근간을 유지하면서 그 특징을 확장시켜 작가 특유의 독창적이면서 현대적 표현의 가능성을 보여주는 작품을 통해 송윤주는 한국화의 영역을 보다 풍부하게 가꾸어가고 있다.

■ 하계훈(미술평론가/단국대교수)




               해달산물나무 Sun, moon, mountains, water and tree_Ink, Pigment on Korean paper_41x41cm×5_2011.jpg





Visual pleasure and rhythm within panoramic scenes

 

A consistent part of Song Yun-ju’s work has been the examination of the sensitive and subtle qualities of materials.
In her upcoming exhibition she conjures up intersections between images and signs. The works that feature in the
exhibition have been divided into two categories: works that present an all-encompassing view from an omniscient
viewpoint; and works where the imagery appears to be free-floating, as if the viewpoint has been turned out toward
infinite outer space.

 

Works from the first category, such as Seoul, JukJeongGwanHakDo (竹亭觀鶴圖), and Dream of Mountain and River
(
山水夢) have parallels to landscape paintings or maps. Building upon the idea that Korean painting and calligraphy both
use ink and paper, Song studied the painting-like characteristics of ancient pictographic characters and applied
these qualities to her own artworks. Seoul, which is composed of pictographic images that can commonly be seen in
maps of the city, encourages the viewer to closely examine every nook and cranny of the work, as if hunt
ing for treasure.
Song used a variety of old Chinese characters to depict the four gates to the North, South, East and West of the city,
and the mountains on the outskirts, adjusting the densities of the ink color in the characters as they embrace the
pathways, rivers, and palaces situated in the center of Seoul, thereby suggesting the functions of the characters on a
semantic level and at the same time, on a symbolic level, the qualities of painting.

 

JukJeongGwanHakDo features, at its center, a pavilion surrounded by mountains, with a bamboo forest behind it, while in front of the building a figure watches a scene in which ducks and cranes swim upon a lake. It creates a scene that, in
Song’s way, suggests a very
Taoist painting-like landscape. In depicting elements such as mountains, or buildings in
her work, Song suggests a variety of shapes
. By adding specific marks to some letters, appearing as if rubbed into their surfaces she reflects her longstanding interest in the materiality of surfaces, clearly continuing through into this new
series of work,
whilst maintaining a perspective that presents the entire canvas as a composite of images.

 

Even though it appears to present the simplest set of forms among these works belonging to the first category, Dream of Mountain and River demonstrates the way that images can be conjured up through intersections between calligraphy and painting The mountains that dominate the upper parts of the work, with their thick lines on the achromatic canvas, are
both letters and pictures at the same time, as well as appearing both modern and yet traditional in its vigorous application of ink. In contrast with the thick, bold lines used for the mountains, the water in the lower part of the canvas has been
depicted with fine lines, while the irregular thick strokes among them seem to be a Chinese letter, implying water as a
pictograph,
and at the same time, depicting the shape of the mountains as if reflected on the water.

 

The second category for Song’s work includes pieces such as Sun and Moon, Song’s Astronomical Chart (宋氏天文圖),
and Chaosmos. As seen in the works
from the first category, which suggested the forms of landscape painting or maps,
these paintings also employ a similar framework
in their use of achromatic ink brushstrokes on a background presented
in the artist’s
characteristic way. Song has selected variations of pictographic letters implying the sun and moon as
primary image
s for composing the canvas, and attempted to broaden their boundaries through her own interpretation and
transformation of
such astronomical elements. 

 

As suggested in the title, the work Sun and Moon, takes variations of the Chinese characters and which
represent
the sun and moon, and arranges them in a large circular form, delineating the sun’s trajectory in the upper
half
of the circle, and the moon’s trajectory in the lower half. Suggesting a variety of aspects of the sun and moon,
these natural phenomena that occupy a central position, among the innumerable stars in the sky, are a primary
source
of life. Sun and Moon suggests that Song is reaching out into infinite space, in order to come closer to the
essence of human life and
the truth of the Universe.

 

Song’s Astronomical Chart and Chaosmos show her broadening interest in these phenomena in the universe.
Song’s Astronomical Chart tak
es the artist’s family name and incorporates her contemplation and observation of
planetary
movements in space. Song’s Astronomical Chart developed from Gebulnori, a work in which the free-floating
pictographic
characters that represent the sun and moon delineate curvilinear forms, as if in the trajectory of its fire bowl.
These ideas are expanded to Chaosmos, in which each of the countless stars in the sky shines in its own way, while at
the same time
they all operate within some sort of order. In Chaosmos, pictographic characters symbolize
the way that
all the things on Earth, as well as in the sky are brought up as elements of imagery, and put into the spatial orbit that the artist has delineated. In these works in which the artist’s contemplation and observation develops into a
variety of images, the viewer is
encouraged to feel the visual pleasure and rhythm of the canvas, which create a panorama as expansive as the creation of the Universe.

 

Through this exhibition, Song took a series of interactions between imagery and signs from our surrounding environ-ment, and opened them up to depict the universe, creating rhythmic energy moving freely in the infinity of space.
Having
adhered to the basic principles of Korean painting, in terms of the materials and the types of brushstroke that
the
artist has continued to use, Song pushes its boundaries through an expanded approach to the characteristics
of her idiosyncratic expressions. In this way she demonstrates the possibilities available to Korean painting, incorporating elements of contemporary art to further enrich the tradition.

 

By Ha Gye-hun, works as an art critic and a professor of Dankook University






송윤주 (宋倫朱, Song YunJu)

 

1974 서울생

 

2010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동양화과 대학원 박사수료

2001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동양화과 대학원 석사졸업

1998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동양화과 졸업

 

개인전

2011 문자산수 (가회동 60, 서울)

2009 文字宴 (아트사이드 갤러리, 서울)

2007 -풀기 (담갤러리 기획, 서울)

2006 -:비결정적 형상 (공화랑, 서울)

2004 (中和갤러리 기획, 동경, 일본)

2002 (모인화랑, 서울)

 

군집개인전

2005 2005컬러엑스포전 (코엑스, 서울)

2004 Art Seoul (예술의 전당, 서울)

 

주요단체전

2011 1st Annversary (갤러리아 센터시티, 천안)

2011 ArtChorus_21C 현대미술의 조명전 (인천종합문화예술회관, 인천)

2011 대한민국현대미술100인 초대_百人百色展 (서울시립미술관 경희궁분관)

2011 MoA invites 2011 (서울대 미술관 기획)

2010 촉지도_가벼운, 깨지기 쉬운, 유연한 (서울대 미술관 기획)

2010 문자동행전-서예전 (서울대 우석홀)

2010 시리우스전_이원전 (공아트스페이스)

2010 art in dialog (SPACE 599)

2010 BLUE STAR (Gallery FANCO)

2010 43회 한국화회전 (동덕아트갤러리)

2009 SHA-SHA (공평아트센터)

2009 한국화의 현대적 변용-동양화 새천년전 (예술의 전당)

2009 후지와라 요지로의 아시아 희망네트워크 프로젝트 (금산갤러리, 헤이리)

2009 AHAF-아시아 탑 호텔 아트페어/ 영아티스트 특별전 (하얏트호텔, 서울)

2009 42회 한국화회전 (조선일보미술관)

2009 서울대입구역 문화풍경 (문예공간 이응)

2009 三國G-회화, 그 표현의 중계 (한전아트갤러리)

2009 My first collection (금산갤러리, 헤이리)

2009 다섯 개의 점 (충무갤러리 젊은 작가지원 프로그램, 충무아트홀)

2009 29회 이원전 (모로갤러리)

2009 쥐뿔전 (오픈스튜디오, 서울대학교)

2008 stillness by practice (키미갤러리 기획)

2008 강화별곡-강화에 살어리랏다 (부평역사박물관, 인천신세계미술관)

2008 개교 62주년 기념 동문전 (서울대학교 미술관)

2008 41회 한국화회전 (조선일보미술관)

2008 그림의 대면-서양화과 동양화의 접경 (소마미술관 기획)

2007 작은그림展 (렉서스갤러리 기획, 대구)

2007 현대미술의 소통전 (율갤러리 기획)

2007 남도가는 길-강진전 (동덕아트센터)

2007 시사회전 (대안공간 팀_프리뷰 기획)

2006 갤러리호 옥션 (호갤러리)

2005 5회 송은미술대상전 (예술의 전당)

2005 接전 (한갤러리)

2004 창립옻칠화회전 (학고재)

2004 The Present (세종문화회관)

2003 Korean View in Japan-3인전 (中和갤러리 기획, 동경)

2003 2003선화동문예술제’동문작가초대전 (리틀엔젤스회관)

2002 한국화일본화 교류전 (中和갤러리 기획, 동경)

2002 월드컵 한일 공동개최기념 특별기획전 (中和갤러리 기획)

2001 마음속의 그림: 문인화, 사군자전 (종로갤러리)

2000 서울대학교와 새천년전 (시립미술관)

2000 한국화-새로운 형상과 정신전 (덕원미술관)

2000 여행_갓뫼소리전 (조흥갤러리)

1999 남산위에 저 소나무전(공평아트센터)

1999 소리_갓뫼소리전 (웅전갤러리)

1998 오공일공육전(서울대학교 문화관)

수상

2011 서울문화재단-시각예술창작활성화지원부문 선정

2009 서울문화재단-예술표현활동지원부문 선정

2005 송은미술대상전 입선 (예술의 전당)

1999 18회 대한민국미술대전 입선 (국립현대미술관)

1998 17회 대한민국미술대전 입선 (국립현대미술관)

강의·교육경력

2002-2004 대구대학교

2002-2006 충남예술고등학교

2005-2009 한국전통문화학교

2009-2011 수원대학교

2010-2011 건국대학교

 

현재

2009- 서울과학기술대학교(舊서울산업대학교)




Song Yun Ju

1974 Born in Seoul, Korea

2010 Completion of D.F.A Course, Seoul Nat'l Univ.

2001 M.F.A./ B.F.A. in oriental painting, Department of Fine Arts, Seoul Nat‘l Univ.

 

Solo Exhibition

2011 Character landscape painting (Gahoedong 60, Seoul)

2009 Feast of Characters (Artside gallery, Seoul)

2007 Circle-Raveling (Dam gallery planning, Seoul)

2006 Circle-Figure (Gong gallery, Seoul)

2004 Circle (chuwha gallery planning, Tokyo, Japan)

2002 Circle (Moin gallery, Seoul)

 

Group-solo Exhibition

2005 2005 color expo (Coex, seoul)

2004 Art Seoul (Seoul arts center, seoul)

 

Selected Group Exhibition

2011 1st Annversary (galleria centercity, chunan)

2011 ArtChorus_21C focus of contemporary art exhibition (Incheon Culture & Arts Center, Incheon)

2011 Korea contemporary art 100 artists invitation (Seoul Museum of Art)

2011 MoA invites 2011 (MoA)

2010 A Tactual Map: Light, Fragie, Flexible (MoA)

2010 Accompanying characters (Seoul Nat'l Univ. Usuckhall)

2010 Sirius exhibition (Gong Art Space)

2009 SHA-SHA exhibition (Gongpeung Art Center)

2009 Contemporary Transformation In Korean Painting (Seoul Art Center)

2009 Project for Hujiwara Yojiro's Asian Hope Network (Keumsan Gallery, Heyri, Paju)

2009 AHAF_Young artist special exhibition (Hyatt Hotel, Seoul)

2009 The 42th Korean painting society annual exhibition (Chosun gallery)

2009 Culturescape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Station in subway line 2 (Literary space)

2009 Painting the Midland of Expression (KEPCO Plaza Gallery)

2009 My first collection (Keumsan Gallery, Heyri, Paju)

2009 Five dots (Chunmu gallery)

2009 G-bul Exhibition (openstudio, Seoul National Univ.)

2008 stillness by practice (Gallery Kimi)

2008 Inter_viewing Paintings (SOMA Museun of Art)

2008 Ganghwabyeolgok-Sareoro Sareororatda

     (Bupyeong History Museum, Shinsegae Department Gallery, Inchun)

2008 SNU Alumni Exhibition (MOA)

2007 Small picture (Lexus gallery)

2007 Communication of Contemporary art (Yul gallery)

2007 Way to Namdo-gangjin (Donduck art center)

2007 Sisawhae Exhibition (Alternative space Team_Preview)

2006 Gallery Ho Auction (Ho gallery)

2005 The 5th Song-Eun Grand Art Exhibition (Seoul Art Center)

2005 Zhup·Zhup·Zhup Exhibition (Han gallery)

2004 The Korea Ott-painting Society Foundation Exhibition (Hakgojae gallery)

2004 The Present Exhibion (Sejong Center)

2003 Korean View in Japan- 3 men Exhibition (Jung-Haw gallery, Tokyo, Japan)

2003 2003 Sunwha Alumni Art Festival Exhibition (Little Angels Center)

2002 Korean Art· Japanese art (Chuwa gallery, Tokyo, Japan)

2002 Post Korea/Japan World Cup Exhibition (Chuwa gallery, Tokyo, Japan)

2001 The Painting in the Mind (Jongro gallery)

2000 Seoul National University in the New Millennium (Seoul Metropolition Museum of Art)

2000 Korean painting-New form and spirit (Dukwon gallery)

2000 Sound of Mountain-Travel (Joheung gallery)

1999 The Pine on the Nam Mountain (Gongpyung Art Center)

1999 Sound of Mountain-Sound (Kyunin gallery)

1998 5·0·1·0·6 Exhibition(Seoul National University Hall)

 

Awards

2011 Awards for Visual arts' creation support (Seoul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2009 Seoul Foundation for Artists Support Program

2005 The 5th Song-eun Grand Art Exhibition (Seoul arts center)

1999 The 18th Grand Art Exhibition of Korea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1998 The 17th Grand Art Exhibition of Korea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Teaching

2002-2004 Degu University

2002-2006 Chung-Nam Art High school

2005-2009 The Korean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2009-2011 The University of Suwon

2010-2011 Konkuk University

2009-NOW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Technology

 

Blog: http://blog.naver.com/juice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