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xhibition/Review

SUN CITY 류신정 展 2010_1107 ▶ 2010_1121


SUN CITY   
류신정 展

2010_1107 ▶ 2010_1121


가회동60

gahoedong60.com
서울시 종로구 가회동 60번지
02-3673-0585

월요일 휴관/11:00am - 7:00pm


태양의 도시 Sun City, acrylic on canvas, 180x130cm, 2010

시대 우리 삶의 현장은 도시이다. 미국의 철학자 듀이는 "예술" "공동체 삶의 표현" 이라고 규정 있다. 본인은 예술이 우리의 속에서 꽃피워지는 것이라는 점에서 그의 규정을 지지한다. 그런 점에서 본인이 자연환경과 연결하여 도시와 인간에 주목하는 것은 필연적일 수밖에 없다. 그리고 이는 회화적 언어로써 "나를 통한 우리" 아닌 "우리를 통한 " 정체성 찾기다. 무엇보다 나를 통해 우리를 바라보는 것은 패쇄적인 주관성에 그치기 쉽기 때문이다. 어떠한 공간 혹은 관계 속에서 살아간다는 사실만으로 우리는 삶이 결국 실타래처럼 얽인 상호적 관계에 의해 이뤄진다는 것을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나의 작품은 도시적 일상의 그늘에 자리하는 온기 찾기이다. 잠시 일인칭의 시점을 내려놓고 2인칭 혹은 3인칭으로 도시를 바라보는 일이 결코 쉽지는 않을 것이나, 분명 본인의 가슴과 발이 길을 이끌 것으로 믿는다.

도시에서의 삶은 숨이 만큼 빠르며 때문에 도시를 떠받치고 있는 사람들은 마치 하나의 목표를 향한 거대한 기계처럼 앞으로 내달리기만 , 서로가 서로를 나아가 스스로가 스스로를 쉽게 돌아보지 못한다. 그런 점에서 작품의 지향점은 도시의 구석구석을 곰곰이 들여다보고 자연 이미지를 통해 우리의 현재적 삶을 자연환경과 연결하여 되돌아보는 것이다. 그리고 궁극적으로 이러한 과정을 통해 절망이 아닌 회색도시라는 기계적 차가움 속에 잠자고 있는 생생한 삶의 온기를 표면으로 이끌어 내고자 한다. ■ 류신정


태양의 도시 Sun City, Oil on canvas,
180x130cm ,2010


인간과 도시, 인간과 자연의 진정한 공생을 꿈꾸며- 고충환(Kho,ChungHwan 미술평론)

 

꿈꾸는 도시(2007, 스페이스 아침), 꽃피는 도시(2008, 안단테 갤러리), 그리고 태양의 도시(2010, 예술의 전당)에 이르기까지, 류신정은 근작에서 일관되게 도시라는 특정 주제에 천착한다. 일종의 도시생태학으로 범주화 할만한 이 주제의식을 매개로 작가는 자신이 몸담고 있는 도시의 생리적 지도를 그려나가는 한편으로, 이를 통해 개별적 경험의 경계를 넘어 보편성을 획득한다(도시는 우리 모두가 몸담고 있는 삶의 장이기도 하다).

외관상 이 주제들은 밝다. 꿈꾸는, 꽃피는, 빛으로 환한. 그런데 정작 이 밝은 어휘들은 그 이면에 어둠을 숨기고 있다. 일종의 반어법으로 읽으면 된다는 것이며, 나아가 그렇게 읽을 때에야 비로소 그 속뜻이 드러나 보인다는 것이다. 말하자면 도시는 사실은 더 이상 꿈을 꾸지 않고(혹은 꿈을 꾸지 못하고), 꽃을 피워내지 못하는 암울한 상태, 라고 보는 것이 도시에 대한 작가의 진단이다. 꿈은 꿈꾸듯 반짝거리는 별빛이나 반딧불 무리와 어울리지, 도시와는 영 어울리지가 않는다. 아주 이따금씩 도시도 꿈을 꾼다는 사실을 발견할 때가 있는데, 멀리서 가물거리는 아파트 불빛을 쳐다볼 때가 그렇다. 그때마저도 여하튼, 회색 빛 콘크리트 속 도시에서 꿈을 꾼다는 것, 그것은 왠지 서글픈 정감을 자아내고 쓸쓸한 파토스에 감싸이게 한다.

그리고 도시는 꽃을 피워내지 못한다. 도시는 꿈에 대해서 불임인 것만큼이나 생명에 대해서도 그렇다. , 자연, 생명은 그 본래의 의미가 축소되거나 변형되거나 왜곡되지 않고선 결코 도시에 기숙하지 못한다. 물론 도시에도 꽃은 있지만 그 의미는 화초로 축소되고, 자연이 있지만 정원이나 공원으로 변형되고, 생명이 있지만 애완의 개념으로 왜곡되고서야 비로소 인간과 도시를 나눠가질 수가 있게 된다. 이를테면 새들은 점차 황폐해진 자연을 피해 도시에 둥지를 튼다. 그 새들은 건축현장에서 물어온 못이며 판자조각 따위를 분비물과 버무려 집을 짓는다. 세상에서 가장 뛰어난 건축가인 새들의 재주가 참 용타, 싶다가도 훼손된 자연의 바로미터를 보는 것 같아 섬뜩한 느낌이 든다.





Sun City, oil on canvas, 55x55cm x 2p, 2010

그리고 태양의 도시. 태양의 제국이라고 한다면 옛날에 태양신을 숭배한 국가들, 이를테면 잉카나 마야 같은 고대문명국가를 일컬을 터이지만, 태양의 도시는? 무슨 영화제목 같은 이 주제처럼 도시가 빛으로 환하게 빛날 때가 있긴 하다. 그러나 그것은 낮이 아닌 밤에 그렇다. 낮이 밝고 밤이 어둡다는 것은, 다만 자연의 법칙이며 자연시계에 한정된 이야기에 지나지 않는다. 이와는 거꾸로 자연의 낮은 도시의 밤에 해당한다. 도시는 낮에 자고 밤에 깨어난다. 밤을 밝히는 인공태양이야말로 도시를 도시답게 해주며, 미몽의 상태로부터 도시를 갱신시켜주는 태양신의 축복(?)이다. 그 인공태양 아래에서야 비로소 도시는 가장 생생하고, 그 생체시계는 가장 활발해진다. 밤을 잃은 도시. 도시는 생리적으로 밤을 견디지 못하고, 어둠을 참지 못한다. 그 도시의 주민들은 밤과 함께 어둠을 잃고, 잠을 잃고, 휴식을 잃고, 침묵을 잃었다. 그리고 고향과 원형과 정체성마저도. 충혈 된 눈을 홉 뜬 채 그는 밤새도록 어딘가로 내달리고, 흡사 느와르 영화 속 장면처럼 세팅된 도시의 뒷골목을 어슬렁거리며 희생양을 찾아 헤맨다. 이로써 태양의 도시는 현실에 대한 인식의 결과라기보다는, 사실은 밤을 잃은 도시, 불면의 도시, 비정한 도시의 반어법적 표현임이 밝혀진다. 그리고 꿈꾸는 도시(꿈꿀 수 없는 도시), 꽃피는 도시(불임의 도시) 역시.

이 일련의 주제의식에 반영된 도시에 대한 반응은 작가의 작업 중 입체나 설치보다는 특히 평면회화의 저변을 지배하는 정조로 보인다. 이 그림들에서 작가는 자연과 도시, 자연과 인간을 대비시킨다. 그리고 반어법을 통해서 황폐해진 자연의 현실을 주지시키고, 훼손된 자연과 인간관계의 복원을 꿈꾼다. 이를테면 꽃과 새와 무지개 같은, 그리고 화면을 온통 붉게 물들이는 노을 같은, 그림에 곧잘 등장하는 자연의 표상들은 도시에서 실제로 발견된 것들이라기보다는, 사실은 상실된 것들을 그리워하는 희망과 바람을 표현한 것이며, 궁극적으론 자연성의 회복을 향한 염원을 암시한 것이다.



dreaming City, oil on canvas, 118x93cm, 2010

이 그림들에서 도시는 결코 그 실체를 온전하게 드러내지 않는다. 도시는 생리적으로 정체를, 휴지를 모른다. 항상 어딘가를 향해 바삐 움직이는, 도시의 생리는 바로 속도감이다. 이처럼 내달리는 도시를 작가는 마치 초점이 나간 사진처럼 흐릿해진, 희미해진, 다만 유기적인 덩어리로 겨우 암시될 뿐인, 무슨 추상화처럼 옮겨놓고 있다. 도시의 주민들은 바로 그 속도감의 휘몰이 속에 함몰된 탓에, 작가의 그림에서 사람을 찾아보기는 어렵다(이따금씩 도시와 함께 질주하는, 아마도 도시 밖으로, 혹은 도시 속으로 탈주하고 있는 것 같은 사람이 등장할 때가 있지만, 대개는). 대신 사슴이나 곰 그리고 고양이 같은 동물들이 도심의 변두리(이를테면 고속도로나, 혹은 한적해서 오히려 차들이 더 속도를 내는 국도 같은)에 낯선 이방인처럼 어슬렁거린다.



dreaming City, oil on canvas, 55x55cm, 2010




속도감과 더불어 희미한 흔적으로 암시되는 도시에 비해, 오히려 사실적이고 또렷한 실체 감을 갖는 것으로 그려진 동물들이 대비되면서 이런 이질감을 강조하고, 이방인의식(?)을 극대화한다. 그리고 그 그림 속 동물들이 그림 바깥쪽의 또 다른 이방인들을 정면으로 쳐다본다. 내달리는 도시와 얼어붙은 듯 멈춰선 동물과의 대비가 로드 킬(그 자체가 현재 자연과 문명과의 잘못된 관계를 암시하는)을 예고하며, 정면을 응시하는 동물들의 눈빛이 화면에 극적 긴장감을 드리운다.

이처럼 작가는 자연과 도시, 자연과 인간, 자연과 문명과의 관계를 주제화하면서, 이를 회화로 풀어내고, 더러는 그 경계를 입체와 설치영역으로까지 확장시킨다. 회화와 조각, 평면과 입체의 경계를 넘나드는, 소위 탈 장르 내지는 탈 경계의 논리를 실현하고 있는 것이다. 이번 전시에서도 역시 각 <인상; 해돋이>로 명명된 입체작품 2점을 선보인다. 그 중 하나로 작가의 전작에서 이미 상당할 정도의 유형화가 진척된 전형적인 형식을 변주한 경우가 있고, 비교적 최근에 새롭게 찾아낸 또 다른 형식의 조형물이 있다.

먼저 야외광장에 설치된 한 조형물을 보면, 제목 그대로 해가 막 바다 위로 떠오르는 순간의 장관을 포착해 조형화한 것으로서, 수면에 길게 드리워진 햇살과 그 햇살이 유래한 둥근 태양이 하나로 합체된 형태를 보여주고 있다. 조형물의 측면에는 곡선을 따라 LED를 장착함으로써 특히 밤에 조명과 함께 일정한 장식적인 기능을 부가하고 있다. 아마도 인공적인 빛으로써 주제에 나타난 자연적인 빛(태양)에 조응하도록 배려한 것일 터이다. 그리고 조형물 표면에는 수면에 이는 파문을 가녀린 실선으로 그려 넣어 구체적인 형상 성을 더했다. 이처럼 태양과 햇살이(그리고 파문이 가세된) 하나의 덩어리로 조형된 이 조형물은 부드럽고 유기적인 곡선을 그리며 길게 드리워진 형상으로 인해 그 자체 벤치로도 사용할 수가 있다. 단순한 조형물의 경계를 넘어 일종의 실용미술의 가능성을 엿보게 하는 대목일 것이다.



Humans and City, Dreaming of a True Symbiosis of Humans and Nature ● Ranging from Dreaming City (2007, Space Morning), to Blooming City (2008, Andante Gallery) and The City of the Sun (2010, Seoul Art Center), Sinjeong Ryu has been consistently digging into the specific subject-city-in her recent works. Painting a physiological map of the city where the artist belongs by carrying the subject which can be categorized as a kind of urban ecology, and through the map, she acquires the universality beyond the boundaries of individual experiences at the same time (Also, a city is the place of life where all of us belong). ● These subjects look bright by sight. However, in fact, the vocabularies like 'dreaming', 'blooming', and 'bright with light' are hiding darkness behind them. That is, they should be taken as a kind of irony; furthermore, their true meanings can be revealed by reading such a way. In other words, the artist's diagnosis of a city is a dismal state that the city cannot have a dream any more (or does not have a dream) or cannot blossom any more. A dream goes with the star lights or fireflies which glitter as if they were dreaming a dream, it doesn't go with a city at all. Very occasionally, the fact a city may have a dream can be discovered when one looks at the shimmering lights of apartments in the city at a distance. Even in such a moment, somehow, dreaming in a city made of concrete evokes sad emotions and makes one surrounded by a lonely pathos. ● Moreover, a city is not able to blossom any more. A city is sterile in terms of life as it is sterile in terms of having a dream. Flowers, nature, and life can never be accommodated in a city without reducing or altering or distorting their original meanings. Of course, there are flowers in a city, however, their meanings are reduced to plants, and nature is transformed into a garden or a park, and life is distorted to the concept of pets; only after their being so, they can share the city with humans. For example, birds build their nests in a city in order to avoid the nature which has been gradually ravaged. The birds build their nests by mixing their excretions with the nails, wooden pieces and other materials picked up from construction sites. Though the talents of the birds, who are the best architects in the world, are amazing, it is also eerie as they seem to be the living proofs of the damaged nature. ● The City of the Sun or the Empire of the Sun may refer to the nations who worshiped the sun god in olden times, for instance, the ancient civilizations like the Inca or the Maya; but what about the City of the Sun? Like a theme that sounds like a movie title, there is a time when a city brightly shines with light. However, it doesn't shine during the daytime but only shines at night. Being bright in the daytime and dark at night is just a law of nature and is nothing more than a story limited to a natural clock. On the contrary, the day of nature is relevant to the night of a city. A city sleeps in the daytime and wakes up at night. The artificial sun that illuminates nights makes a city city and is the blessing (?) of the sun god who awakens the city from a delusory state. Under the artificial sun, a city finally becomes the most vivid, and the biological clock becomes the most lively. A city, from which night disappears, can't physiologically tolerate nights nor darkness. The residents in the city lost darkness along with night, sleep, relaxation, silence, and even, home, originality, and identity. With his eyes bloodshot, he runs into somewhere all night long, prowling and wandering in the dark allies of the city, looking for a scapegoat as if it were a scene found in a noir film. In doing so, the City of the Sun is proved to be an irony: in fact, a city that lost nights, a sleepless city, and a cold-blooded city rather than the result of perception of reality. And the Dreaming City (A City cannot have a dream) or Booming City (A Sterile City) are of the same category. ● The responses to the city reflected on a series of themes seem to be, in fact, the signs which dominate the basis of flat painting rather than three-dimensional structures or installation works among the works of the artist. In these paintings, the artist contrasts nature and a city or nature and humans. And she dreams of restoring the damaged relationship between nature and men by reminding men of the desolated reality of nature through an irony. For instance, the signs of nature such as flowers, birds, and rainbow, which often appear in her paintings, are, in fact, the representations of the hopes and wishes of missing the lost things, rather than the things actually discovered in a city. In these paintings, the city never reveals its true identity. Physiologically speaking, a city doesn't know a congestion nor a standstill. The physiology of a city is a sense of velocity running into somewhere all the time. Such a racing city merely implied as a blurred and dim organic mass by the artist as if it were a photo out of focus is being abstractly transferred to her paintings. As the residents in the city are drawn into a vortex created by such speed, it is usually hard to find a man in her paintings (Though sometimes there is a man who appears to race along with the city or to run out of the city or to escape into the city). Instead, a deer or a bear or cat-like animals are strolling at the outskirts (for example, highways or quiet national highways where cars are likely to speed up) of the city like a stranger ● Compared with the city which is implied with the faintest trace along with speed, the animals painted with reality and sharpness emphasize this heterogeneity and maximize the sense of alienation. And the animals in the paintings look on the front of another strangers outside of the paintings. A contrast between the racing city and motionless animals, as if they were frozen, portends a roadkill (Which alludes to the wrong relationship between nature and civilization in itself), and the animals staring straight ahead cast dramatic tension over the screen. ● In such a way, the artist brings up the relationships between nature and a city or nature and humans or nature and civilization as subjects, and expresses them in her paintings, and extends their boundaries to the areas of three-dimension and installation. In other words, she is realizing the so-called logic of going beyond genre or going beyond border by crossing the boundaries between painting and sculpture or plane and three-dimension. Also, in this exhibition, two three-dimensional works, respectively named 「Impression; Sunrise」, will be displayed. One of them is a case varied from the traditional type already categorized to a considerable degree in the previous works of the artist, and the other is a different type of sculpture discovered relatively in recent days. ● First, the sculpture installed in the outdoor plaza is a model of the magnificent scene when the sun is about to rise above the sea as the title of the work says, and it illustrates the shape in which the sunshine reflected on the surface of the sea is merged into the round sun derived from the sunshine. By installing LEDs along the sides of the curve of the sculpture, consistent decorative features are added along with the lighting, especially, at night. This is, perhaps, intended to let the artificial light correspond to the natural light (the sun) shown in the subject. And, on the surface of the sculpture, the ripples on the surface of the water were carved in thin lines in order to increase the concreteness of the shape. Thus, this sculpture upon which the sun and sunshine are merged into a mass (including ripples) can be used as a bench due to its long-draped shape of soft and organic curve. This demonstrates a glimpse of possibility of a kind of practical art, which goes beyond the border of a simple sculpture. ● Thus, there are the works modeled into an organic mass, whereas there are the works modeled with the symbols which distinctively appear in the works of the artist. When it comes to the works of the artist, they might be more important in terms of the viewpoint that they show a kind of categorized form. Looking at her work, as the symbols are fixed on the stainless steel pole, the supporting pole is not seen at a distance but only the clustered symbols are seen. For such a reason, the sculpture looks as if it were floating in the air. For example, it looks like a school of little fishes moving into one direction or the ripples drawn by the shapes of integrated water drops. Given that the title of this work is 「Impression; Sunrise」, and, given that the master title of this project is 「The City of the Sun」, the shapes created by such symbols and the mixtures of the symbols are regarded the fragments of light scattered on the surface of the water as tiny pieces or glimpses of light. In doing so, the sculpture itself is acting as an opportunity to open a scenery never existed before. That is to say, the properties of a space will be transformed or degenerated as the sculpture is installed in the space, and the space where the sculpture is installed will automatically take over the role of the background for the sculpture. Thus, the space where the sculpture is located is automatically transformed into the surface of the water or the sky (A kind of virtual reality is created). Moreover, it is also interesting that a mirror is installed as a background of the sculpture and its visual and perceptual categories are infinitely extended from the real space to the reverse images in the mirror. ● The symbols, which represent the minimal unit of this sculpture that shows the organic and dynamic relationships of the part and whole, the aggregation and dissolution, allude to the young of fishes and seeds, and, above all, mean the minimal unit of life - sperms. In contrast, other items could be regarded the transformed objects of the sperms (the objects to which other names of life were given). Whatever they may be, what is actually important is that the artist is trying to remind us of the primordial instincts of life and illustrate the recovery of the damaged nature. ■ Kho, Chung-Hwan 


류신정

학력                                                     

   ADELPHI GRADUATE SCHOOL  순수예술 전공 졸업, NY   

   경희대학교 미술과 졸업, 서울 

 

   :   중앙대  출강 



개인전 8회 및 다수

  2010 Sun City – 예술의 전당 기획, 서울

  2008 Blooming city –안단테 갤러리 기획, 서울                                                          

  2007 Dreaming City -스페이스 아침 초대, 서울                                                 

  2005 고양 스튜디오-국립 고양미술 스튜디오,경기도                                                    
 
1995 metaphor Poem - 오사카 D.C 갤러리 초대, 일본 

1994 Blue wills – 조현화랑, 서울

  
단체전 

  2010  부산비엔날레 - 광안리, 부산

  2010  서울대 병원 강남센터 전시-강남 파이넨스 센터, 서울

  2010  Show Show Show - DMC첨단산업센터, 서울

  2010  영은10주년기념 REMIND -영은 미술관, 경기도

  2009  내일의 조각 프로젝트6인의개인전 - 아트벨리, 송추

  2009  아트가든 전 – 다이나믹 전 - 세종 문화 회관, 서울                                     

  2009  오월의 크리스마스  - 전북 도립미술관, 전라도                                             

  2009  Phantasmagoria - 이영 미술관,경기도

  2009  공평아트 개관 기념전 – 공평 아트센타, 서울

  2009 서울오픈아트페어(SOAF)2009 -삼성동 무역센터 코엑스, 서울

  2009  야생- 도라산에서 만나다  -  임진각 평화공원, 경기도                 

  2008  과학 과 예술의 만남 - 카이스트 , 국립현대미술관                                          

  2008  청계천 프로젝트-Wild Animal  - 청계천,서울                                           

  2008  찾아가는 미술관- 월성 수력발전소, 국립현대미술관                                 

  2008  Trend  - 코리아 아트 센타, 부산                                                        

  2008  양평 프레 비엔날레 - 닥터 박 갤러리, 경기도                                              

  2007  미술관 ‘봄’ 나들이-아트 사파리 - 서울시립 미술관, 서울  등 다수                         

                 

 레지던시 :  국립고양 스튜디오 프로그램 2005                 

            영은 단기 레지던시  2006

            Bundanon   Residency,  Australia  2006

     :  GNAB- Geumgang Nature Art Biennale관객이 선정한  작품상 2006

            송은 미술 대전 입선    2008

작품 소장 : 성남아트 센터, 모토로라, 해태 크라운 제과, 임진각 평화공원  

           대우 허브센터, 한화 건설, 태신 목장, 우미 건설, 송추 아트벨리 외 다수

Home Page     http://blog.naver.com/afdf22